개요
- 인덱스는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수가 얼마나 많을 때부터 성능상 이점을 보이는가
- Redis에서 데이터를 가져올 때와 RDB에서 접근할 때 성능 차이가 얼마나 나는가
- 한번에 들어오는 양에 따라서 결과가 달라지는가
위 세 가지에 초점을 두고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.
서버 스펙
정말 간단한 데이터 기준으로 테스트 한 것이기 때문에 환경에 따라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!
[Standard]centos-7.8-64vCPU 2개, 메모리 4GB, 디스크 50GB [G1]
데이터 수에 따른 단건 조회 시간 비교
Index없이 조회했을 때는 1만건 이후로 조금씩 차이나기 시작하다가 100만건 이후부터는 많이 차이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.
데이터 수에 따른 성능 비교(총 5만 번의 요청)
- 총 5만번의 요청을 10, 100, 500, 1000, 2000, 5000개씩 나눠서 보냅니다.
데이터 수 1000
데이터 수 10000
데이터 수 100000
데이터 수 1000000
- 한꺼번에 들어오는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면 크진 않지만 조금씩 성능 저하가 보이는걸 확인했습니다.
- 단건 조회에서는 차이가 안났는데 한번에 들어오는 요청량을 증가시키니 index가 2배가량 성능상 이점을 보였고
아무래도 데이터 양에 영향을 받지않다보니 데이터 수가 많아질수록 성능 차이가 눈에 보일정도로 났습니다